'in시흥소식'에 해당되는 글 662건
- 2012.09.06 생금집 황금닭 이야기
- 2012.09.03 경기도·시흥시, 제식구 감싸려다 망신
- 2012.08.31 도 넘은 공무원 근무기강 해이
- 2012.08.31 승진에 유리한 축구동아리 회원
- 2012.08.31 주관 기관만 바뀐 비슷한 축제 되풀이
◎ 지정번호 : 시흥시 향토유적 제7호
◎ 지정연월일 : 1994년 10월 20일
◎ 소재지 : 시흥시 죽율동 597
◎ 시대 : 1913년
<6일 오전 시흥시 향토유적 7호인 ‘생금집’이 새옷을 갈아 입었다. 생금집 부속가옥은 시흥시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전통 초가집으로, 기와지붕과는 달리 볏짚이 재료이기 때문에 1년이 넘으면 짚이 삭아 지붕이 무너지는 등 새심한 많은 관리가 필요하다. 시흥시향토민속보존회와 시흥문화원이 주최한 이 날 행사에서는 초가지붕 장인 최추억(80, 대야동) 노인 등 6명의 전문가가 직접 이엉을 만들어 초가지붕을 올렸다.>
생금집은 금녕 김씨 자손이 12대째 세거하고 있던 곳으로, 인근에 널리 알려진 생금집 전설의 현장이기도 하다.
현재의 가옥은 1913년 개축한 것으로 부분적인 개수는 있으나 건립 당초의 기본적인 가옥구조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가옥은 이 지역 전통가옥의 생활모습을 비교적 충실히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될 뿐 아니라, 바닷가에 살던 사람들의 생활상이 반영되고, 일하는 가치, 분수에 맞는 생활자세를 고취시키는 생금집이라는 전설이 만들어진 장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건물은 안채가 12칸, 바깥채가 여섯칸으로 규모는 149.84㎡에 이른다(가옥고증 : 경기대 김동욱 교수). 한편, 생금집에 얽힌 전설은 다음과 같다.
조선조 말엽 죽율동에 살았던 김창관(金昌寬, 1845~1929)이 마을로부터 10여 리 떨어진 옥구도로 나무를 하러 갔다가 우물(생금우물)에 샛노란 털을 가진 닭이 한 마리 있어 보자기에 곱게 싸다가 집 골방 반닫이에 넣었다.
이 때 보자기에 쌌던 닭털이 하나 떨어져 있어 이튿날 한양에 있는 금방에 가서 물어 보니 금붙이로 확인되었다. 한양에서 돌아온 뒤 곧 반닫이를 열어보니 닭은 모두 황금 덩어리로 변해 있었다.
화수분처럼 쏟아지는 황금 닭털을 모아 새로운 금방을 찾아다니며 돈으로 바꾸어 땅도 장만하고 새 집도 지었는데 그 집이 바로 ‘생금집’이라고 한다.
한편 소문을 듣고 출가했던 딸이 찾아와 생금닭을 몰래 훔쳐가다 중간에서 보자기를 펴보니 번쩍이던 황금 닭은 돌덩이로 변해 있었다는 것이다. 순간 딸은 황금닭의 주인은 따로 있음을 깨닫고 친정으로 돌아왔으나 다시 황금닭으로는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 뒤로 가족 뿐만 아니라 주변의 이웃들에게도 욕심내지 말고 분수에 맞게 살아야 한다는 교훈이 전해 내려오게 되었다고 한다.
을지훈련 기간 중 공무원 음주사건 은폐·축소에 道감사관실 재조사 | ||||
| ||||
간부공무원 ‘대단한 술판이라도 벌인 것처럼 보도’ 해당 기자 비난 시민 “자숙 없다… 김문수 도지사 직접 복무기강 점검 나서야 할 것” 최근 범국가적으로 실시된 을지연습훈련 기간 중 발생한 시청 상황실 음주 사건<본보 8월29일자 5면 보도>을 경기도와 시흥시가 막걸리 한 병 정도 마신 해프닝으로 종결 시키려다 망신살을 자초했다.
| ||||
시흥시 간부들 을지훈련기간 중 시청 상황실서 술파티 | ||||
| ||||
간부공무원 “간식 먹으며 막걸리 한두잔 했을 뿐” 시민 “많고 적음 떠나 비상시 음주 일벌백계해야” 지난 21일 시흥시에서는 ‘2012년 을지연습 도 단위 테러대비 종합훈련’이 실시됐다. 이날 훈련에는 김문수 도지사와 행안부 제2차관, 시민 1천500여 명이 참관했다.
| ||||
시흥시 日원정 경기 물의 빚은 동아리 고문, 인사에 개입 의혹 | ||||
| ||||
공무원 “사조직화된 친선모임이 직원 분열 조장” “승진하려면 축구 동아리에 가입해야 하나!”
| ||||
시민 참여 않고 참가 단체·공연팀 중복 ‘그들만의 잔치’ 비난 | ||||
| ||||
시흥시 8∼9월 유사한 축제 남발에 예산 낭비 시민 외면에 공무원·유관단체 회원 대거 동원 8~9월 시흥시는 축제의 연속이다. 그러나 축제에 시민은 없고 축제 관계자와 동원된 공무원, 유관 기관 단체 회원들이 대부분 자리를 메우고 있어 축제가 축제답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 ||||